기생충 정보
영화 <기생충>은 2019년 5월 30일에 개봉하였습니다. 상류층과 하류층, 두 가족의 만남을 다룬 대한민국의 블랙 코미디 가족 드라마 영화입니다. 봉준호 감독의 7번째 장편 영화입니다. 상영 시간은 131분이며 15세 이상 관람가입니다. 총 관객 수는 1,031만 명입니다. 평점은 9.07입니다. 아카데미에서 작품상, 감독상(봉준호) 등 4개 부문 수상의 쾌거를 이룬 수작입니다. 칸 영화제에선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받았습니다. 출연진은 송강호, 최우식, 박소담, 조여정, 이선균, 장혜진, 이정은, 박명훈입니다. 기생충 내에서 상징하고 있는 몇 가지의 의미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극 중 다송이의 그림입니다. 다송이는 정신 불안증과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어 기정에게 미술 심리 치료를 받습니다. 사실 다송이가 정신 불안증과 트라우마의 원천은 다송이의 그림에서 보이듯이 지하실에 사는 근수의 얼굴입니다. 근수의 존재가 수면 위로 드러나기 전 유일하게 알고 있었던 인물이 다송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냄새입니다. 극 중에서 다송이 기택, 충숙, 기정에서 비슷한 냄새가 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들은 반지하에서 살기 때문에 공통적인 나는 냄새이기도 합니다. 결국 바꿀 수 없는 한 가지인 냄새를 이야기하며 겉모습은 바뀌었지만 근본은 바뀌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기생충 줄거리
낙후된 동네의 반지하에 네 가족 기택(송강호), 충숙(장혜진), 기우(최우식), 기정(박소담)이 살고 있습니다. 그들은 피자 박스 접는 아르바이트를 하며 근근이 생계를 유지해 나갑니다. 기택 가족은 사실 전원백수로 살 길은 막막하지만 사이는 좋습니다. 장남 기우에게 명문대생 친구가 연결시켜 준 고액 과외 자리는 모처럼 싹튼 고정수입의 희망이 됩니다. 기우는 온 가족의 도움과 기대 속에 박사장(이선균) 집으로 향합니다. 글로벌 IT기업 CEO인 박사장은 스스로의 능력으로 부를 일궈낸 자수성가형 젊은 부자였습니다. 박사장의 저택에 도착하자 젊고 아름다운 사모님 연교(조여정)가 기우를 맞이합니다. 무사히 면접을 통과한 기우는 연교가 사람을 쉽게 믿는 성향임을 간파하고는 박사장의 아들 다송(정현준)의 미술 교사로 기우의 동생 기정을 추천합니다. 이후 기우의 아빠 기택과 엄마 충숙도 각자 신분을 위장해 박사장네 운전기사와 가사도우미를 쫓아내고 그 자리를 대신합니다. 그렇게 기우 가족은 철저하게 기상하게 됩니다. 어느 날, 박 사 장 네는 아들 다송의 생일을 맞아 캠핑을 떠납니다. 그날 밤 기우 가족은 빈 집인 박 사 장 네 서 대범하게 술을 마시며 쉽니다. 이때 갑작스레 초인종이 울리고 내쫓았던 가정부 아줌마가 문을 두드립니다. 알고 보니 그 집 지하에는 가정부 남편이 살고 있었습니다. 이 갑작스러운 만남이 정리되기도 전에 장대비에 캠핑을 갔던 박 사장 가족은 곧 돌아온다고 했습니다. 이후 각기 다른 세 가정의 스토리가 이어집니다.
기생충 총평
<기생충>은 섬세한 스토리와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력으로 전 세계적인 관객들의 호평을 받은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불편한 계급 사회의 내용을 다루며 상류층과 하류층의 간격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면서도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간 드라마를 다룹니다. 계급사회에서 각자의 목표와 욕망을 추구하는 인간들의 이야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줌으로써 현대 사회의 복잡한 구조에서 우리가 갖는 각자의 고민들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만듭니다. 사실 쫓겨난 가정부와 자택 내 지하실에서 살고 있던 가정부 남편의 존재가 드러나면서부터 이 영화의 장르가 조금은 급변했다고 생각합니다. 이야말로 지하 세계를 제대로 보여줌으로써 영화의 제목 그대로 기생하고 있는 현실들을 직시할 수 있었습니다. 영화 곳곳 연출력이 돋보였기에 이 영화가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피자 박스를 접으면서 겨우 생활하는 기택네 가족들은 박스를 납품할 때 꼭 넷 중 하나는 불량이라는 말을 듣습니다. 즉, 가장인 기택의 상태를 돌려 말한 듯 우리 사회 이면의 숨은 의미를 담는 것과 같은 연출들이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결말을 갈수록 사실 영화는 충격에 충격을 더합니다. 숨은 의미들을 곱씹어보기도 하며 강력한 여운이 남는 영화를 찾는다면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상류층과 하류층의 극과 극을 보여주기도 하고 기생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조금이라도 사랍답게 살고 싶었던 기택의 가족의 모습을 결말에 표현하며 현실을 말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